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 Alarm
    프로필 정보수정
  •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About Us
  • New text
  • All text
    • installation-performance
    • painting
    • around
    • photo-video
    • sculpture
    • mixed-media
  • Community
    • Notice
    • Contact
    • qna
ACK press ACK press ACK press
  • About Us
  • New text
  • All text
    • installation-performance
    • painting
    • around
    • photo-video
    • sculpture
    • mixed-media
  • Community
    • Notice
    • Contact
    • qna
MENU
ACK press ACK press ACK press
About Us
New text
All text
Community
  • installation-performance
  • painting
  • around
  • photo-video
  • sculpture
  • mixed-media
  • installation-performance
  • painting
  • around
  • photo-video
  • sculpture
  • mixed-media

눈을 뜨지 않는 장면에 몸짓은 하염없이 흔들거리고

가격문의

눈을 뜨지 않는 장면에 몸짓은 하염없이 흔들거리고

가격문의


정재연


단순하게 정의된 문장들을 읽어보면 놀라움을 금치 못할 때가 있다. 단순하게 나열되는 장면들이 반복되는 영상을 볼 때도 놀랍다. 의미 없어 보이는 영상에서 의미를 찾다니. 이건 마치 삭막한 사막에서 지하수가 흐르는 지대를 찾기 위해 하염없이 돌아다니는 여정 같다. 4분짜리 짧은 영상에도 8분 12분 16분…. 눈을 떼지 못하고 앉아서 되풀이되는 영상을 살펴보고. 이전에 봤던 화면과 다른 느낌으로 전개되는 영상. 그렇게 얼마나 봤는지도 모를 정도로 “다시 시작한 건가” 얼마나 그 말을 반복했던지. 바로 4분짜리 영상의 주인공은 조각가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1904~1988)의 작품이다. 선구적인 실험영화 제작자 마리 멘켄(Marie Menken, 1909~1970)은 그녀의 첫 영화를 제작한다. 4분짜리 흑백 작품으로 ‘노구치에 대한 시각적 변주(Visual Variations on Noguchi)’라는 제목으로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에 있는 노구치의 맥두걸 앨리 스튜디오(MacDougal Alley studio)에서 그의 작품을 여러 관점에서 파편화하여 담은 작품이다. 일단 장면은 시작부터 끝까지 흔들리고 또 흔들린다. 노구치 조각의 윤곽선을 따라 표면을 훑고 공간과 조각 사이는 음악과 공기가 화면을 채운다. 영상은 마치 친한 친구 집에 들러 “이 멋진 조각들 영상으로 찍어도 돼?” 물어본 후, 스튜디오를 혼자 바쁘게 오가며 급속으로 찍은 것 같다. 그러니 열정적이기도 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혼란스럽고 방향을 전혀 읽을 수 없는 노구치의 가벼운 공간 초상화랄까. 하지만 중요한 건 멘켄의 첫 번째 실험 영화이고 이러한 진격의 관점 변화는 결국 새롭고 무겁지 않은 어지러운 촬영 전략을 개척한다...

상품 요약설명

시점 수렴

가격문의

시점 수렴

가격문의


안재우


적지 않은 수의 예술 작품들은 ‘구별화와 동일화의 공존’이라는 모순을 지닌다. 감상자는 예술가의 위대한 작업을 감상하며 ‘이걸 대체 어떻게 창작했을까,’ 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능력으로 이런 창작이 어찌 가능하단 말인가’와 같은 감동에 휩싸일 수 있다. 이때 감상자의 마음 속에서는 예술가와 자신 사이에 ‘이것을 창작한 예술가’라는 인간의 개념과 ‘이것을 창작하지 못하는 나’라는 인간의 개념이 설정되어 그 둘 사이의 구별이 형성된다. 하지만 동시에, 출렁이는 마음을 지닌 감상자는 빈센트 반 고흐의 출렁이는 회화를 감상하며, 타자화의 아픔을 겪는 감상자는 낸 골딘의 사진을 감상하며, 그리고 삶의 이유를 고민하는 감상자는 실비아 플래스의 시를 감상하며 예술가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있는 것처럼 타인이 자신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인데, 위대한 예술가는 그 어려운 것을 해내고야 만다.

이처럼 어려운 일을 예술가가 해냄으로써 감상자는 동일시를 통한 감흥과 영감을 누리게 되는데, 좀 더 능동적인 감상자는 그 감흥과 영감 뒤에 또 하나의 선물이 숨어있음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선물이란 ‘가능성’이다. 타자의 심정을 조금이나마 유의미하게 응시하는 일이, 비록 무척 어려운 일이다 하여도, 완전히 불가능한 일은 아닐 수도 있다는 희망 또한 감상자는 쟁취하게 되는 것이다...

상품 요약설명

말할 수 없는

가격문의

말할 수 없는

가격문의


박천


세계의 많은 선각자들에 의하여 우리는 세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대상을 인지하거나 이해하기 위해서 모르는 것을 애써 감추며 추상적인 개념어를 통해 안다고 포장하였고 세계를 이해하고 있다는 착오를 범하고 있다.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된 지도 모르는 ‘현대사회’라는 시대에 떨어진 우리는 이러한 추상적 개념어들에 익숙해져, 모른다는 것을 자각하기 힘든 세계를 살아가고 있기에 더욱 그럴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이렇게 모호한 현대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복잡함, 바쁨, 다양성 따위의 부유하는 개념어들로 해석을 시도하지만, 추상적 개념을 풀어내기 위해 추상적 단어를 사용하고 있기에 이를 명징하게 구체화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앞선 선각자들이 그러했듯,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인류가 지속적으로 고찰해온 주제인 ‘나는 누구인가?’는 앞서 서술한 내용의 출발점이자 연장선상에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존재론적 질문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려 하지만, 늘 그렇듯 모른다는 것만 알 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조규빈 작가는 모른다는 것, 규정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모르는 것은 모르는 상태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은 규정하지 않은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지정하고, 모르는 것과 규정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또 다른 가능성을 예술의 언어를 빌려 탐구한다...

상품 요약설명

불편해 마세요.

가격문의

불편해 마세요.

가격문의


정재연

 

그 자리에 앉고 서고 포즈를 취하고. 당당하다 못해 우리를 당혹스럽게 하고, 놀래 키고, 때론 저격하는 예술계 내에 조용하고도 웅장한 울림을 주는 핀란드 출신 여성 작가 리우 수시라자(lIU Susiraja, 1975- ). 그의 신체와 주변 오브제를 사용해 자화상을 찍는다. 울퉁불퉁한 살찐 신체를 이용해 진지하고도 유머를 머금은 하지만 진중한 그만의 쇼가 시작된다. 쇼를 준비하기 위한 준비물은 간단하다. 내 몸과 우리 집 배경만이 필요로 한다. 텅 빈 놀이공원이자 여유로운 공원이 되는 신기한 마법 같은 곳. 

창백한 피부와 무표정한 얼굴, 헝클어진 머리, 축 늘어진 가슴, 울퉁불퉁 셀룰라이트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매력적인 신체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그의 모습을 불편할 정도로 드러내고 있다. 멍한 눈으로 카메라를 응시하고, 그 응시가 화면을 뚫고 나오면 바라보고 있는 자들은 얼굴이 화끈거릴 것이다...

상품 요약설명

없어진 돌과 사라진 땅, 그리고 지워진 퍼포먼스

가격문의

없어진 돌과 사라진 땅, 그리고 지워진 퍼포먼스

가격문의

정희라


어느 돌의 이야기

박형렬의 2018년도 사진 작업인 <북위 37°11'34.2, 동경 126°39'37.3의 돌>에서 돌의 모습은 자연스럽지 않다. 깨진 돌의 형태가 어떻게 이런 모양일 수 있는지, 작가가 작업을 위해 인위적으로 깨트린 것은 아닌지 궁금증이 생길 만하다. 이 돌은 간척지 옆의 산에서 발견된 것이다. 간척지를 메우기 위한 흙을 주변의 산에서 가져오게 되는데 그 산에는 이렇게 기이하게 깨진 돌들이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간척지 사업을 위해 동원한 장비들의 엄청난 압력에 의해 쩍하고 쪼개졌던 모양이다. 돌에 생긴 이 틈새의 모습을 땅 위에서 퍼포머들이 재현한 작품이 <형상연구_땅#75-2(북위 37°11'34.2, 동경 126°39'37.3의 돌의 균열으로부터)>이다. 흰색 옷과 검은 옷을 입은 퍼포머(인간)들이 누워 머리가 다리 끝을 맞대고 이어져 있다...

상품 요약설명
SNS 바로가기
  • About Us
  • New text
  • All text
  • Community
ACK press

대표 정희라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25 ACK pres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