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은 연기처럼, 해체된 극장
정희라, 미술평론/미술사
그곳은 사라진 것들의 극장.
잊힌 장소의 불빛 아래,
연기는 여전히 피어오르고,
장면은 끝나지 않은 채 새롭게 재구성된다.
박기일의 회화는 오래된 꿈의 아우성처럼 우리에게 다가온다. 그의 화면에 펼쳐진 장면들은 익숙하면서도 불분명하고, 실제의 장소 같지만 어딘지는 알 수 없다. 그림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환상의 공간, 연기와 불, 이중 프레임, 인물 중심의 장면들은 그의 작업이 <기억>과 <장소>, <정동>을 어떻게 해체하고 재조립하는지를 살펴보게 한다.
박기일은 사라진 장소를, 회화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체성과 맥락을 상실한 <장소 없는 장소>[1]로 변모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마르크 오제(Marc Augé)는 "비장소"를 정체성, 관계성, 역사성이 결여된 장소로 정의한다. 그것은 공항, 고속도로, 쇼핑몰처럼 누구에게나 동일하고, 누구에게도 고유하지 않은 공간이다. 하지만 박기일의 회화에서 비장소는 단지 현대 도시의 무정주 공간이 아니다. 그의 회화 속 비장소는 어떤 사건 이후, 기능을 상실하고, 시간과 장소의 맥락이 지워진 공간—기억과 감정만이 남은 장소이다. 침수된 공간, 연기가 피어오르는 아름다운 하늘, 깊고 은밀한 숲, 극적인 상황이 연상되는 건물, 주목받는 자세를 취한 인물은 특정한 사건의 연결을 묘사하기보다는 감각과 정서의 밀도를 환기하는 정동적 장면이라 할 수 있다. 즉, 서사적 설명이나 논리적 재현보다 감각적 반응과 분위기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장면들이다.
특히 그는 주로 에어브러시 기법으로 화면을 매끄럽고 사진처럼 정밀하게 구축하면서도, 그 안의 이미지들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로 이끈다. 이처럼 또렷하고 살아있는 듯한 질감과 초현실적인 장면의 병치는 그의 회화가 재현(representation)을 넘어선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비선형적인 시간의 층위이며, 중첩된 감각으로 작동한다. 박기일의 회화가 보여주는 낯익지만 정확히는 알 수 없는 장면들은 개인의 기억을 넘어선 세대적 감각, 사회적으로 공유된 이미지 기억의 한 표면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기억 어딘가에서 그의 이미지가 전하는 낯설지 않은 친근함을 발견하고 다가갈 수 있다. 언젠가 보았던 영화나 간판, 그리고 문학 속 이미지처럼 가까이 다가온다. 그 이미지들의 표면은 붓질의 흔적 없이 매끄럽게 재현되면서, 특정 정체성을 잃은 인물과 장소, 흐릿한 맥락의 감정이 층층이 얹혀 있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현실처럼 확실하면서도 환상처럼 희미하다.
이러한 특성은 작가의 자전적 기억에 기반한 한 작품에서도 잘 드러난다. <가시나무 트리>(2023)는 어린아이가 눈 위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끌고 가는 모습을 담았다. 마치 동화의 한 장면처럼 정겹고 아름답다. 이 그림 속 서사는 누나와 함께 나무를 끌고 가던 작가의 실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경험과 다르게 재구성된 그림 속 아이는 작가 자신일 수도, 또 다른 누구일 수도 있으며, 눈밭은 실제의 풍경이라기보다 그 기억을 감싸고 있는 감정의 분위기(atmosphere)로 가득 차 있다. 이 장면 역시 시간과 장소의 특정성이 사라진 채, 기억과 감정의 이미지로 다시 구성된 하나의 '비장소'이다. 이렇듯 박기일은 특정한 사건이나 경험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그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토대로 한 홍수가 난 마을의 모습을 담은 그림에서도 어떤 사건의 보도 이미지나 기록화의 성격을 지운다. 대신 그의 화면은 사건 이후에 남겨진 부유하는 장소의 파편을 현재 그의 감각과 재조합해 담는다. 박기일 회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작가가 어린 시절 접했던 대중문화를 통해 각인된(각인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이미지의 새로운 조합으로 보이는데, 이는 개인적 경험이 외부 문화 이미지와 뒤섞여 형성된 기억의 방식을 반영한다. 이러한 인물들은 특정한 개성이 아닌, 여러 상태가 뒤섞인 익명의 상(像)으로 나타나며, 회화 전체의 정동적 분위기를 구성하는 시각적 장치로 작용한다. 오토바이를 탄 인물이나, 극적으로 포즈를 취한 인물들은 극화된 배경의 상황과 더불어 더빙된 외화 속 배우들의 이미지를 연상케 한다. 그들은 특정한 인물이 아니라, 기억 속 스크린을 통해 매개된 이상화된 인물상이며, 인물 중심 그림의 경우 대체로 이러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해석은 마리안 허쉬(Marianne Hirsch)의 '포스트메모리'(postmemory) 개념과도 연결된다. 허쉬는 포스트메모리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가, 타인의 기억을 이미지나 이야기로 전이받는 간접적 기억"이라 설명한다. 박기일은 대중 문화로 경험한 과거의 유산-TV 속 흘러간 장면, 모두에게 익숙한 장난감, 세대와 문화를 대표하는 사물/인물들을 매개로 하여 우리의 기억을 재구성한다.
또한 박기일은 종종 극장 간판, 프레임 속 인물, 유리창 너머의 쇼윈도 장면 등 ‘이중 프레임(double frame)’ 구조를 통해 관람자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는 회화 속에 또 하나의 시공간을 삽입하거나, 이미지 내부에서 또 다른 이미지가 응시하도록 함으로써, 기억이 단일한 층위가 아닌 다중적이고 중첩된 구조로 작동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 이중 프레임은 크레이그 오웬스(Craig Owens)의 '재현의 구조'에 관한 말을 떠올리게 하며, 회화가 결코 하나의 시점으로 세계를 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프레임 속 인물은 내부에서 또 다른 내부를 바라보는 시점을 통해 응시의 교차와 기억의 층위성을 환기시킨다.
이와 더불어, 박기일의 작업에는 연기, 불꽃, 소방관 등의 이미지도 함께 등장한다. 이 역시 작가가 유년기에 겪은 실제 화재 사건의 기억과 연관된다. 기억 속 화재를 겪었던 장소와 감정 또한 그림 안에서 직접적 재현이 아닌, 정동의 장면으로 되살아난다. 불을 끄는 소방관은 장면의 중심에 서 있으며, 그의 존재는 사건이 남긴 정동의 잔여가 응축된 도상처럼 떠오른다. 소방관의 제스처, 불꽃과 연기의 위치는 그림 전체의 긴장감과 정서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연기는 시간의 흐름처럼 장면 전체에 퍼지며, 공간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고, 현실과 환상을 교차시킨다. 이 연기, 오로라 같은 공기의 흐름은 마치 극이 끝난 이후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묘사는 이미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애도와도 같아 보인다. 과거와 현재의 기억에 기댄 소재 선택이 가져올 수밖에 없는 사라지는/지나가는 것들에 대한 아련함이 녹아 있는 듯하다. 이 지점에서 박기일의 회화가 감각적 전이를 중심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다시 확인한다.
결국 박기일의 회화에서 장소는 단순히 지리적 공간이 아니라, 기억과 정동, 상실과 환상의 감각이 충돌하는 ‘장소 없는 장소’이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장소는 해체된 기능과 의미의 흔적이자, 상실을 감각적으로 재구성한 흔들리는 무대이며, 애도의 정서가 은밀히 스며든 정동의 풍경이다. 해체된 장소가 더 이상 과거의 장소로 돌아갈 수 없을 때, 그것은 오히려 정동적 농도와 상상의 힘으로 재구성된 새로운 공간으로 작동한다. 이때 회화는 사건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이 남긴 감각의 밀도, 정동의 잔여, 장소가 잃어버린 의미의 층위를 되살리는 매체로 기능한다. 박기일은 회화의 가능성을 거듭 발견하고, 사라지며 흩어진-장소, 기억, 감정의 흔적으로 그만의 극적인 장면들을 그림 속에 연기처럼 새겨 넣는다.
[1] 장소 없는 장소 Placeless places, 박기일 개인전, 이화익 갤러리, 2023.12.13-12.30
2025.07. ACK 발행. ACK (artcritickorea) 글의 저작권은 필자에게 있습니다. July. 2025. Published by ACK. The copyright of the article published by ACK is owned by its author.
장면은 연기처럼, 해체된 극장
정희라, 미술평론/미술사
그곳은 사라진 것들의 극장.
잊힌 장소의 불빛 아래,
연기는 여전히 피어오르고,
장면은 끝나지 않은 채 새롭게 재구성된다.
박기일의 회화는 오래된 꿈의 아우성처럼 우리에게 다가온다. 그의 화면에 펼쳐진 장면들은 익숙하면서도 불분명하고, 실제의 장소 같지만 어딘지는 알 수 없다. 그림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환상의 공간, 연기와 불, 이중 프레임, 인물 중심의 장면들은 그의 작업이 <기억>과 <장소>, <정동>을 어떻게 해체하고 재조립하는지를 살펴보게 한다.
박기일은 사라진 장소를, 회화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체성과 맥락을 상실한 <장소 없는 장소>[1]로 변모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마르크 오제(Marc Augé)는 "비장소"를 정체성, 관계성, 역사성이 결여된 장소로 정의한다. 그것은 공항, 고속도로, 쇼핑몰처럼 누구에게나 동일하고, 누구에게도 고유하지 않은 공간이다. 하지만 박기일의 회화에서 비장소는 단지 현대 도시의 무정주 공간이 아니다. 그의 회화 속 비장소는 어떤 사건 이후, 기능을 상실하고, 시간과 장소의 맥락이 지워진 공간—기억과 감정만이 남은 장소이다. 침수된 공간, 연기가 피어오르는 아름다운 하늘, 깊고 은밀한 숲, 극적인 상황이 연상되는 건물, 주목받는 자세를 취한 인물은 특정한 사건의 연결을 묘사하기보다는 감각과 정서의 밀도를 환기하는 정동적 장면이라 할 수 있다. 즉, 서사적 설명이나 논리적 재현보다 감각적 반응과 분위기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장면들이다.
특히 그는 주로 에어브러시 기법으로 화면을 매끄럽고 사진처럼 정밀하게 구축하면서도, 그 안의 이미지들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로 이끈다. 이처럼 또렷하고 살아있는 듯한 질감과 초현실적인 장면의 병치는 그의 회화가 재현(representation)을 넘어선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비선형적인 시간의 층위이며, 중첩된 감각으로 작동한다. 박기일의 회화가 보여주는 낯익지만 정확히는 알 수 없는 장면들은 개인의 기억을 넘어선 세대적 감각, 사회적으로 공유된 이미지 기억의 한 표면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기억 어딘가에서 그의 이미지가 전하는 낯설지 않은 친근함을 발견하고 다가갈 수 있다. 언젠가 보았던 영화나 간판, 그리고 문학 속 이미지처럼 가까이 다가온다. 그 이미지들의 표면은 붓질의 흔적 없이 매끄럽게 재현되면서, 특정 정체성을 잃은 인물과 장소, 흐릿한 맥락의 감정이 층층이 얹혀 있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현실처럼 확실하면서도 환상처럼 희미하다.
이러한 특성은 작가의 자전적 기억에 기반한 한 작품에서도 잘 드러난다. <가시나무 트리>(2023)는 어린아이가 눈 위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끌고 가는 모습을 담았다. 마치 동화의 한 장면처럼 정겹고 아름답다. 이 그림 속 서사는 누나와 함께 나무를 끌고 가던 작가의 실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경험과 다르게 재구성된 그림 속 아이는 작가 자신일 수도, 또 다른 누구일 수도 있으며, 눈밭은 실제의 풍경이라기보다 그 기억을 감싸고 있는 감정의 분위기(atmosphere)로 가득 차 있다. 이 장면 역시 시간과 장소의 특정성이 사라진 채, 기억과 감정의 이미지로 다시 구성된 하나의 '비장소'이다. 이렇듯 박기일은 특정한 사건이나 경험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그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토대로 한 홍수가 난 마을의 모습을 담은 그림에서도 어떤 사건의 보도 이미지나 기록화의 성격을 지운다. 대신 그의 화면은 사건 이후에 남겨진 부유하는 장소의 파편을 현재 그의 감각과 재조합해 담는다. 박기일 회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작가가 어린 시절 접했던 대중문화를 통해 각인된(각인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이미지의 새로운 조합으로 보이는데, 이는 개인적 경험이 외부 문화 이미지와 뒤섞여 형성된 기억의 방식을 반영한다. 이러한 인물들은 특정한 개성이 아닌, 여러 상태가 뒤섞인 익명의 상(像)으로 나타나며, 회화 전체의 정동적 분위기를 구성하는 시각적 장치로 작용한다. 오토바이를 탄 인물이나, 극적으로 포즈를 취한 인물들은 극화된 배경의 상황과 더불어 더빙된 외화 속 배우들의 이미지를 연상케 한다. 그들은 특정한 인물이 아니라, 기억 속 스크린을 통해 매개된 이상화된 인물상이며, 인물 중심 그림의 경우 대체로 이러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해석은 마리안 허쉬(Marianne Hirsch)의 '포스트메모리'(postmemory) 개념과도 연결된다. 허쉬는 포스트메모리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가, 타인의 기억을 이미지나 이야기로 전이받는 간접적 기억"이라 설명한다. 박기일은 대중 문화로 경험한 과거의 유산-TV 속 흘러간 장면, 모두에게 익숙한 장난감, 세대와 문화를 대표하는 사물/인물들을 매개로 하여 우리의 기억을 재구성한다.
또한 박기일은 종종 극장 간판, 프레임 속 인물, 유리창 너머의 쇼윈도 장면 등 ‘이중 프레임(double frame)’ 구조를 통해 관람자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는 회화 속에 또 하나의 시공간을 삽입하거나, 이미지 내부에서 또 다른 이미지가 응시하도록 함으로써, 기억이 단일한 층위가 아닌 다중적이고 중첩된 구조로 작동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 이중 프레임은 크레이그 오웬스(Craig Owens)의 '재현의 구조'에 관한 말을 떠올리게 하며, 회화가 결코 하나의 시점으로 세계를 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프레임 속 인물은 내부에서 또 다른 내부를 바라보는 시점을 통해 응시의 교차와 기억의 층위성을 환기시킨다.
이와 더불어, 박기일의 작업에는 연기, 불꽃, 소방관 등의 이미지도 함께 등장한다. 이 역시 작가가 유년기에 겪은 실제 화재 사건의 기억과 연관된다. 기억 속 화재를 겪었던 장소와 감정 또한 그림 안에서 직접적 재현이 아닌, 정동의 장면으로 되살아난다. 불을 끄는 소방관은 장면의 중심에 서 있으며, 그의 존재는 사건이 남긴 정동의 잔여가 응축된 도상처럼 떠오른다. 소방관의 제스처, 불꽃과 연기의 위치는 그림 전체의 긴장감과 정서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연기는 시간의 흐름처럼 장면 전체에 퍼지며, 공간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고, 현실과 환상을 교차시킨다. 이 연기, 오로라 같은 공기의 흐름은 마치 극이 끝난 이후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묘사는 이미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애도와도 같아 보인다. 과거와 현재의 기억에 기댄 소재 선택이 가져올 수밖에 없는 사라지는/지나가는 것들에 대한 아련함이 녹아 있는 듯하다. 이 지점에서 박기일의 회화가 감각적 전이를 중심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다시 확인한다.
결국 박기일의 회화에서 장소는 단순히 지리적 공간이 아니라, 기억과 정동, 상실과 환상의 감각이 충돌하는 ‘장소 없는 장소’이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장소는 해체된 기능과 의미의 흔적이자, 상실을 감각적으로 재구성한 흔들리는 무대이며, 애도의 정서가 은밀히 스며든 정동의 풍경이다. 해체된 장소가 더 이상 과거의 장소로 돌아갈 수 없을 때, 그것은 오히려 정동적 농도와 상상의 힘으로 재구성된 새로운 공간으로 작동한다. 이때 회화는 사건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이 남긴 감각의 밀도, 정동의 잔여, 장소가 잃어버린 의미의 층위를 되살리는 매체로 기능한다. 박기일은 회화의 가능성을 거듭 발견하고, 사라지며 흩어진-장소, 기억, 감정의 흔적으로 그만의 극적인 장면들을 그림 속에 연기처럼 새겨 넣는다.
[1] 장소 없는 장소 Placeless places, 박기일 개인전, 이화익 갤러리, 2023.12.13-12.30
2025.07. ACK 발행. ACK (artcritickorea) 글의 저작권은 필자에게 있습니다. July. 2025. Published by ACK. The copyright of the article published by ACK is owned by its author.